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정보

자동차 문화

by tipInfo 2008. 9. 26.
반응형

 자동차 대중화
자동차대중화(Motorization-Motor와 Civilization의 합성조어)란 국민소득의 증가로 구매력이 커지면서 자동차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1가구 1차' 수준으로 보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도 지난 1997년 7월 15일 세계에서 14번째로 자동차 1천만대 보유시대가 열렸다. 1985년 1백만대에서 불과 13년 만에 10배가 넘는 폭발적인 수요 팽창에 힙입어 대중화 시대를 맞게 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이다.
자동차의 기동성이 주는 엄청난 편익(便益)

·자동차 소유가 주는 사회적 신분(社會的 身分)의 과시
·경제력의 향상으로 소득과 구매력이 커져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자동차 가격과 유지비 및
  경제 양순환의 호경기
·레저문화의 확산과 레저스포츠용 자동차 개발
·자동차 교통의 인프라 확대(도로신설·확충, 도로 포장률 향상, 주차장 확충, 신호체계 개선 등)
·다양하고 품질 좋은 자동차의 생산과 판매 및 서비스

미국의 경제학자 C.로스토우 교수는 '경제발전의 여러 단계'라는 저서에서 '미합중국은 자동차를 타고서야 비로소 달리기 시작했다. 바로 대중의 자동차 시대가 열린 것이다. 자동차와 함께 교외에 새로 지은 단독주책으로 대규모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자동차, 주택, 도로, 가정용 내구재에 대한 대량소비시장이 1920년대 미국의 경제성장을 이끌었고 이것은 생활양식까지 바꾸어 놓는 혁명이었다.'고 하면서 세계적 이상으로 자리잡은 미국문화는 바로 자동차 대중화시대와 함께 열린 것이라고 역설하였다. 이런 자동차 대중화시대는 서유럽과 일본을 거쳐 신흥공업국가로 계속 이어지고 엄청난 잠재수요가 있는 중국, 러시아, 인도, 중남미, 동유럽으로 21세기에도 계속 이어갈 것이다.

 자동차문화
자동차의 보급 확대로 인한 대중화는 자동차가 인간을 지배하는 생활 양식으로 발전하여 자동차문화라는 새로운 개념이 생겨났다. 자동차문화란 자동차의 개발·생산·유통·소유·사용·정비·폐차 등의 제반 활동에서 나타나는 제도와 법규, 도로교통과 질서관행, 그리고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공유된 가치관, 관습, 행동양식 등의 총체적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문화는 어느 국가나 지역의 자동차 공업수준, 보급수준, 보급시기, 유통체계, 도로교통 인프라, 교통질서 준수, 국민교육수준, 국민소득수준의 제반 요소와 관련이 있으며 이런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그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자동차문화는 선진국에 비해 너무 열악한 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다. 년간 1만 여 명이 사망하는 '교통사고 왕국'의 오명과 함께 도로교통의 인프라가 너무 취약하고 관련 제도나 정책도 불합리한 문제를 안고 있으며 국민의 교통질서 의식이나 사회교육 수준까지도 낮아 자동차 대중화시대와 함께 선진 자동차문화(自動車文化)의 정착은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와 환경변화
자동차는 인간 자신은 물론 경제, 사회, 산업, 문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환경의 변화는 다시 자동차에 영향을 준다. 궁극적으로는 자동차는 인간 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회적 환경과 규제의 울타리 안에서 인간, 사회 그리고 기술이 서로의 요구를 조화시켜 가면서 공존하지 않으면 안된다. 바로 인간중심(人間中心)의 자동차문화(自動車文化)를 지향하면서 기술과 사회의 진보와 발전을 거듭해 나가야 한다

반응형